젠킨스 생성하기
먼저 젠킨스를 사용하는 이유부터 알아보자.
만약 젠킨스같은 CI/CD을 사용하지 않고 어떠한 작업이 있어서 소스코드를 수정하거나, 추가한다고 가정하자.
작업 이후에 배포 파일(Jar)을 만들고(빌드), 서비스가 배포되고 있는 머신에 배포파일(Jar)을 보내야한다. 그렇게 된다면, 소스 한줄 바꾸더라도, 개발자가 직접 빌드하고, 빌드된 파일을 배포하는 작업까지 매번 하기 상당히 귀찮을 것이다. 이 동작을 자동화 해주는 것이 젠킨스이다.
실무에서 젠킨스를 구축한다면, 도커, 추가 머신을 이용하여 젠킨스 서버를 따로 띄울 것 같은데, 그럴만한 여건이 안되기 때문에 젠킨스를 로컬에서 띄우기로 하였다. 해당 링크를 참고하였다.
다만 jenkins의 포트를 변경할 때 아래의 주소에서 젠킨스 설정파일을 찾을 수 있었다.
/opt/homebrew/Cellar/jenkins-lts
위 링크를 따라 젠킨스 설정을 완료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로컬에서 띄운다면, 127.0.0.1:포트번호로 들어갈텐데, 이후 github과 연동하기에는 해당 IP주소는 적합하지 않다. 그렇기 위해서 127.0.0.1 주소가 아닌 외부에서도 접근할 수 있는 IP 주소를 설정해야한다.
MAC 환경에서 외부로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설정 → 공유 → 원격로그인 체크 후, 동그라미 친 부분의 IP주소 확인
- 이후 동그라미 친 IP주소:젠킨스포트번호 로 접속하면 외부에서도 젠킨스를 접근할 수 있다.
github Jenkins 연동
위 설명한 것고 같이, 소스코드가 변경된 이후에는 github에 push을 할 것인데, 이것을 Jenkins가 알아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github과 Jenkins을 연동해야 한다.
먼저 Personal access tokens을 만들고, 이후 github webhook 까지 연동할 것이다.
- 자신의 깃헙 계정의 settings에 들어간다.
- Developer settings에 들어간 후
- Generate new token을 클릭하여 생성한다.
토큰 이름을 정해주고 repo, admin, admin:repo_hook을 선택하고 생성한다.
Jenkins와 연결하고 싶은 프로젝트로 들어가서 Settings에서 Webhook을 생성한다.
Payload URL을 작성하고 Webhook을 생성한다. Payload URL은 http://젠킨스설치한머신IP/github-webhook/ 으로 작성하면 된다.
위 가이드를 따랐다면 아마 젠킨스 설치한 머신은 로컬임으로, 위에서 설정한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로컬IP를 적어주면 된다.
다시 Jenkines로 돌아와서 Add GitHub Server을 찾고,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Credentials에서 add을 클릭하고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Secret에는 아까 github에서 발급한 토큰 정보를 적어준다.
이후 Credentials을 생성한 Secret Text로 설정하고 Test Connection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성공했다고 나온다.
'무중단 배포 진행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중단 배포 진행하기 2023 (3) - 젠킨스 잡 Setting 및 실행파일 확인하기 (0) | 2023.07.18 |
---|---|
무중단 배포 진행하기 2023 (4) - profile 간단 설정 (0) | 2023.07.03 |
무중단 배포 진행하기 2023 - 젠킨스 빌드 시 3가지 에러 상황 (0) | 2023.06.30 |
무중단 배포 진행하기 2023 (1) - 클라우드 인스턴스 원격 접속하기 (0) | 2023.05.07 |